남아공(남아프리카공화국)은 핵무기 개발은 오랜기간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핵무기를 개발한 후 핵무기 보유를 포기하고 스스로 해체한 최초의 나라이다. 남아공에서는 산업적 이용이라는 목적으로 핵개발을 시작하였고 국제정세의 변화와 국내정치 환경에 따라 핵폭탄 개발로 전환하여 핵폭탄을 개발 및 제작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스스로 핵무기를 폐기하는 과정을 겪었다. 각 단계별 진행 내용과 관련 내외부 여건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남아공에는 우라늄 매장량이 많다. OECD 산하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우라늄 총매장량을 474만 3천 톤으로 보고 있는데 이 중 호주가 총매장량 114만3천 톤으로 가장 많고, 카자흐스탄 81만6천 톤, 캐나다 44만4천 톤, 미국 34만2천 톤, 남아공 34만1천 톤 등의 ..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전쟁 패배와 안보위협 때문에 핵을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미국이 동맹국으로서의 가치에 따라 달라지는 태도로 인한 불신으로 핵 개발을 포기하지 않고 결국 개발과 배치에 성공하였다. 파키스탄은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이후 핵무기 개발을 시작하였고, 1974년 인도의 핵실험 성공에 자극받아 집요하게 핵개발을 추진하였다. 1983년 핵무기 cold test를 하였고, 1998년 5월에는 동시에 6번의 핵실험을 실시, 사실상의 핵보유국이 되었다. 종교적 이유로 분리된 파키스탄과 인도는 상대에 대한 적대적 정서가 있다. 인도는 종교적 이유로 분리된 파키스탄이 역내 안보 불안을 가중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파키스탄 역시 인도가 자국 안보에 가장 큰 불안 요인이라고 간주하고 있다.파키스탄이 처..
인도는 간디의 비폭력 저항이라는 유산을 가지고 있는 국가인데 어떻게 핵폭탄을 개발하였고 현재 그 보유숫자를 늘려가고 있을까? 인도는 간디가 주장한 '폭력은 폭력으로 없어지지 않는다' 비폭력 노선을 견지하고 있다. 간디는 인간이 핵폭탄으로 멸망하지 않는 길은 모든 나라가 핵무기를 포기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인도는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이후 절대로 핵을 개발하지 않는다고 여러 차례 공언했다. 실제로 인도는 1954년 미국이 태평양 마셜 군도에서 대기중 핵실험을 했을 때, 세계 여론을 통해 미국을 비난했다. 인도 초대 총리 네루는 이러한 국제적 반핵 운동의 선두를 이끈 지도자였다. 인도는 독립한 이후 1950년대 말까지는 핵폭탄을 비롯한 핵무기 개발에 관심이 없는 것처럼 행동했다. 인도의 초대..
이스라엘은 건국 직후부터 핵무기 개발을 시작하여 1966년에 핵폭탄을 제조하였고, 1984년에는 중성자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공식적으로 핵실험을 하지도 않았고 핵보유 여부에 대해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영국의 제인스 그룹 군사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이 영국과 비슷한 수준인 3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조립하지 않은 채 며칠 만에 조립할 수있는 상태로 보관 중이라고 보고하였다. 한편 미국의 핵확산 반대 비정부기구인 핵위협 이니셔티브(NTI)는 2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스라엘은 1948년 건국 직후부터 핵개발을 추진했다. 이스라엘 건국의 아버지 벤 구리온이 직접 핵개발을 진두 지휘했고, 서른 살에 국방부 국장으로 임명된 시몬 페레스(..
중국은 보유한 핵무기는 핵폭탄(원자폭탄)과 수소폭탄(열핵융합폭탄)가지고 있고 이를 발사하는 탄도미사일, 폭격기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탄도미사일은 지상발사 대륙간 탄도미사일 뿐 아니라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도 같이 보유하고 있다. 핵폭탄(원자폭탄)은 1964.10.16에 첫 실험을 하였고, 열핵폭탄(수소폭탄)은 1967.6.14.일에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핵폭탄과 수소폭탄의 배치 시기는 각각 1968년과 1974년이다. 중국의 마오 쩌둥 (Mao Zedong)은 1954~1955년 Quemoy 및 Matsu 제도에서 발생한 대만과의 첫 번째 대만 해협 위기 때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개시했다. 마오 쩌둥은 대량의 핵무기를 보유한 미국과 맞설 것이라고 기대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외교력을 높이기 위해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현재 '7+1'로 8개가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정설이고 자체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핵실험을 한 2개까지 포함하면 10개 국가이다. 정설로 인정하고 있는 '7+1'개 국가에서 7개 국가는 핵 확산 금지 조약(NPT, Non-Proliferation Treaty)에 가입한 UN 상임이사국인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5개 국가와 NPT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핵보유 선언하였고 국제적으로도 핵보유를 인정하는 인도, 파키스탄 2개국을 말한다. 그리고 +1개 국가는 이스라엘로 비록 핵실험은 실시하지 않았지만 핵무기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핵보유국으로서 사실상 인정되고 있다. 그 외 국제사회에서는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핵실험을 하고 핵무기 보유를 추진..
바세나르 체제(Wassenaar Arrangement)는 재래식 무기와 전략 물자 및 기술(conventional arms and dual-use goods and T echnologies)의 수출을 통제하기 위해 결성된 다국적 협의체이다. 이것은 재래식 무기와 전략물자 및 기술의 국가간 거래에 대한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수출에 대한 책임을 부과하여 궁극적으로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를 방지하며, 기존의 대량파괴무기 확산금지체제를 보강하는 차원에서 만들어졌다. 바세나르체제는 94년 3월 신체제 설립을 목표로 발전적으로 해체한 구COCOM을 대체하여 지난 96년 7월 정식 설립, 같은 해 11월부터 본격 가동되기 시작한 전략물자 수출통제 체제로서 정식 명칭은 재래식무기..
탄도학(彈道學, Ballistics)이란 글자 그대로 탄이 날아가는 궤적인 탄도(Ballistic)를 다루는 학문이다. 탄도학은 총이나 포로 발사되는 탄약과 로켓, 미사일로 발사되는 비행체(탄두, 탄자, 탄체, 발사체)가 움직이는 거동에 대해서 다루는 학문으로서 발사 초기 탄이나 로켓의 속도가 빨라지는 가속단계에서부터 관성비행 중의 비행궤도(Ballistic), 최종 목표물 충격 시까지 운동과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힘들에 대해서 다룬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탄도(Ballistic)란 탄이 날아가는 길, 즉 탄이 비행하는 궤도를 말하고 탄도학(Ballistics)이란 탄의 비행을 포함한 탄도에 대해서 다루는 학문이다. 탄도학의 시작은 총이나 포에서 발사되는 탄두에 대해서 추진제, 바람, 중력, 온도, 지구의..
자주포란 곡사포인데 자체 기동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곡사포 중 이와 대비하여 견인포가 있는데 견인포는 자체적인 기동능력이 없고 다른 견인차량 등에 의해서 이동할 수 밖에 없는 화포를 말한다. 과거에는 곡사포를 견인포 형태로 많이 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자주포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많이 알려진 자주포로는 한국의 K9, 독일의 PZH2000, 미국의 팔라딘 등이 있다. 이 중 현재 세계최고 자리를 두고 한국의 K9과 독일의 PZH2000이 경쟁하고 있는 형국이다. 두 모델 모두 155MM 구경의 곡사포를 장착하고 있다. 미국의 팔라딘은 M109라는 모델명으로 시작해서 계속 보완 발전시켜 M109A6까지 나왔으나 차세대 자주포로 개발하려던 크루세이더가 중간에 중단됨으로써 세계 최고 ..
핵탄두(핵폭탄)의 위력은 엄청나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다. 화약이 충전된 수류탄 1발의 폭발력도 수 m를 초토화시키는 위력을 가지는데 수류탄에 들어가는 화약량은 TNT 100g 남짓이다. 핵탄두는 TNT 수십만톤에서 수백만톤이 폭발하는 위력과 맞먹는다. 수류탄 수십억개가 한번에 폭발하는 것과 같은 위력에 의한 1차 피해와 낙진과 방사능에 의한 2차 피해까지 발생한다. 핵폭발에 대한 유명한 과학자들이 표현한 내용을 보더라도 그 위력과 피해를 알 수 있다. "수천 개의 태양보다 더 밝다.(Brighter than a thousand suns)" -엔리코 페르미- "나는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이니라(I am become Death, the destroyer of worlds.)..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