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0.9에 읽은 책 저자 정철진은 삼성생명에서 근무하다가 매경기자로 활동하였으며 SBS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ㅇ JP모건 : 악마의 추종자 ㅇ 존 데이비슨 록펠러 : 악마, 석유와 달러 ㅇ 로스차일드 : 황제 악마 1. 자본은 알파와 오메가, 시작과 끝이다. 2. 대박은 쪽박의 꼬리를 문다. - 주기 - FRB와 앙드레코스톨라니의 달걀 3. 모든 환율은 조작이다. - 달러를 손에 쥐고 환율을 흔든다. 4. 자본과 내가 원한 치명적 유혹, 인플레이션 5. 사악한 자본이 주도하는 공룡기업의 출현 6. 금리 - 평소엔 시장논리, 급하면 정치논리 7. 1%와 99%는 상대적 8. 자본은 APT 때문에 패배할 것인가? - 언제든 어떤 식으로든 이긴다. 9. 중국은 다 갖췄다. - 달러만 빼고 10. 달러를..
~~~~~전편의 경제지표 1~6에 이어서~~~~~ ㅇ (경제지표 7) 통화 - 한국경제의 혈액 - 한국은행 ㅇ (경제지표 8) 금리 - 현재의 소비를 미래로 넘기는 대가 -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결정문이 기준금리 방향 결정 (보도, 참여마당) - 시중의 통화량이 증가하면 금리가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 (2008 금융위기 이후 다른 흐름을 보임) - 만기가 긴 국채가 짧은 국채보다 수익률이 높다 (경기 침체가 예상되면 반대현상이 나타남) ㅇ (경제지표 9) 자금순환 - 가계와 기업의 건강지수 - 한은 / 분기 (보도자료) - 정부/기업/가계간 자금흐름 - 기업의 자금수요의 주체인데 기업에서 자금 잉여가 생기면 불황형 흑자가 나타나고 경제활력이 저하됨 ㅇ (경제지표 10) 환율 - 외화에 대한 수요와 공급 - ..
2018년 10월 1일에서 7일에 읽었다. 12개 경제지표의 의미, 영향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반복해서 숙독해서 내용을 숙지해야 할 가치가 있는 책이다. ㅇ경기순환, 경기변동, business cycle - 장기파동 : 50년 주기, 콘드라티예프 파동 . 1차 : 산업혁명 (1800년~1850년) . 2차 : 철강, 철도 기술혁명(1850년~1900년) . 3차 : 전기, 화학 (1900년~1950년) 석유, 자동차(1950년~1990년) . 4차 : 정보통신, 바이오(1990년~2040년 ?) ㅇ 경제지표의 4가지 요인 : SITC 1. 계절요인, Seasonal factor 2. 불규칙요인, Irregular factor 3. 추세요인, Trend factor 4. 순환요인, Cyclic..
지은이는 양지영, 출판사는 메이트북스 2018년10월1일에 읽었다.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부. 이 아파트는 사라 ㅇ 성장가치가 있는 아파트 - 역세권, 자연, 강남접근성, 대규모개발, 대기업 가는 곳 ㅇ 희소가치가 있는 아파트 - 강변, 교육 ㅇ 주택수요가 있는 곳 - 생산인구 증가, 높은 소득 향상, 도심역세권, 공공기관 이전 ㅇ 인프라가 확충되는 곳 2부. 이 아파트는 팔아라 ㅇ 혐오시설이 가까운 곳 - 송전탑, 교통문제, 고가도로 ㅇ 재건축설만 20년인 아파트 - 상가와 분쟁, 대지지분이 너무 작은 곳 ㅇ 머나먼 길인 재개발과 뉴타운 - 뉴타운 해제로 난개발 중인 곳 - 지분 쪼개기가 심한 재개발 - 신축과 빌라가 많은 곳 ㅇ 환금성이 좋지 않은 아파트 - 교통 낙후..
2018년도 9월 30일, 경제주간지인 "매경이코노미"에서 읽고 남긴 메모이다. 미국 주식 추천주인데 구글, MS, 아마존, 케이던스디자인시스템즈, 보잉, 비자, JP모건체이스, 유나이티드헬스그룹, 홈디포, 케터필터, 디즈니이다. 그리고 당시 단기 급락한 주식으로 테슬라와 필립모리스이다. 지금 2021년도 1월 30일인데 약 2년 4개월이 지난 시점이다. 위에 추천된 주식 중에서 737맥스의 추락과 코로나로 인한 여행의 침체로 부진한 보잉과 필립모리스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주식이 상당히 또는 어마어마하게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느끼는 점은 우량한 주식을 장기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보잉과 같이 사고나 코로나 등 예상하지 못한 악재가 생기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위험을 분산할 수 있도록 투자금..
AGM-158 JASSM은 Joint Air to Surface Standoff Missile의 약자로 미국 록히드 마틴에서 개발된 스텔스 형상을 가진 원거리 공격용 공대지 순항 미사일이다. 미군은 그 이전에 개발을 추진하던 AGM-137 TASSM이 취소하고 1995년부터 JASSM개발을 시작하여 2009년에 실전배치하여 운용 중인 공대지 순항 미사일이다. F-15E, F-16, F/A-18, B-1, B-2, B-52 등 다양한 항공기에서 운용 가능하다. 개발 착수 당시에는 해공군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겸용 공대지 미사일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으며 미 해군에게는 단종된 AGM-84E SLAM 미사일을 대체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신뢰성 문제로 인해 미 해군에서는 재고가 남아있던 SLAM-ER로 선회하고..
엑조세 미사일은 프랑스의 대함 미사일이다. 주로 항공기에서 발사되며 발사 후 수면 위를 스치듯이 비행해 함정의 중앙부를 공격하는 대함미사일이다. 엑조세는 프랑스어로 날치를 뜻하며 엑조세 미사일은 프랑스판 하푼 미사일이다. 수면을 스치듯이 비행하는 시스키밍이 날치와 비슷해서 엑조세로 명명한 것 같다. 하푼은 1977년 실전배치되었고 엑조세는 이보다 2년 늦은 1979년에 실전배치되었다. 하푼과 같이 잠수함의 533mm 어뢰관에서 발사할 수 있으며, 비행기나 헬기 등 항공기에서 발사할 수도 있으며 지상과 수상함에서 발사 가능하다. 엑조세 미사일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 길이 : 4.7 m . 날개폭 : 1.1 m . 무게 : 670 kg . 사거리 : 70–180 km . 탄두중량 : 165 kg . 속 ..
AGM-84 하푼(Harpoon)은 미 해군에서 개발한 대함미사일이다. 하푼이란 고래를 잡는 작살을 의미한다. 현재는 대함공격 뿐 아니라 지상, 연안 목표물 공격까지 가능한 전천후, 원거리의 순항(크루즈) 미사일이다. 원래는 맥도널 더글라스사에서 제작하였으나 현재는 보잉 IDS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스라엘 에일라트(Eilat) 구축함이 1967년에 소련제의 스틱스(Styx) 함대함미사일에 격침되면서 미국이 잠수함이나 함정을 공격하기 위한 대함미사일 개발을 시작하여 1977년 최초로 생산을 시작했다. 2004년에 보잉은 7000번째 하푼을 인도했을 정도로 최대량의 생산기록을 가진 미사일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푼 미사일 시스템은 장거리 원격 지상 공격 버전인 AGM-84E 슬램(SLAM ; Standoff ..
슬램(SLAM ; Standoff Land Attack Missle)은 원격 지상목표물 공격을 위해서 미국 보잉사에서 개발한 아음속, 초수평선, 전천후 순항미사일이다. 특히 슬램-ER(SLAM-ER)은 주야간, 전천후 운용이 가능한 지평선 정밀 타격 미사일 로서 2000년 6월에 최초운영되었다. 2003년 이라크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에서 미국 해군이 3발을 발사했다. [슬램-ER(SLAM-ER) 미사일이 전투기에 장착된 모습] 슬램 미사일은 1970년대 미국 해군이 개발했던 하푼(Harpoon) 대함미사일을 원형으로 하고 있다. 하푼은 발사플랫폼에 따라서 RGM-84A(수상함 발사식, 1977년 배치), AGM-84A(공중 발사식, 1979년 배치), UGM-84A(잠수함 발사식, 1981년 배치)가 ..
대전차유도미사일(ATGM; Anti-Tank Guided Missile)은 간단히 대전차미사일이라고도 한다. 전차와 장갑차 등 장갑으로 방호되어 있는 무기를 파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미사일이다. 대전차유도미사일은 RPG나 LAW를 비롯한 유도기능이 없는 대전차 로켓과는 구별된다. 미사일 자체는 발사체라는 의미로 자체 추진식(=로켓)이라는 의미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미사일은 보통 유도기능이 있는 로켓무기를 뜻한다. 자체 추진 기능을 가지더라도 유도기능이 있으면 미사일이고 유도기능이 없으면 로켓으로 부른다. 사정거리는 운용 플랫폼에 따라서 다르지만 1~10km 정도이고 보병이 직접 운반하고 사격하거나 차량이나 헬기에 장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무인기들에 공격기능을 추가하기 시작하면서 다른 무장체..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