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현재 '7+1'로 8개가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정설이고 자체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핵실험을 한 2개까지 포함하면 10개 국가이다.
정설로 인정하고 있는 '7+1'개 국가에서 7개 국가는 핵 확산 금지 조약(NPT, Non-Proliferation Treaty)에 가입한 UN 상임이사국인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5개 국가와 NPT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핵보유 선언하였고 국제적으로도 핵보유를 인정하는 인도, 파키스탄 2개국을 말한다. 그리고 +1개 국가는 이스라엘로 비록 핵실험은 실시하지 않았지만 핵무기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핵보유국으로서 사실상 인정되고 있다.
그 외 국제사회에서는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핵실험을 하고 핵무기 보유를 추진하고 있는 국가로 이란, 북한 2개국이 있다.

 세계에서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핵탄두)의 개수는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 기준으로 13,460개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유엔상임이사국인 러시아, 미국, 프랑스, 중국, 영국 5개국이 13,000개로 전체 핵무기의 96.6%이다. 매우 높은 비율이지만 과거에 비해서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고 반대로 비상임이사국인 국가들의 보유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2016년 1월 기준으로 전체 핵무기 보유량이 15,405개였고 미국, 프랑스, 중국, 영국 등 유엔상임이사국 5개국의 보유량은 15,065개로 전체 보유량의 98%였다. 그리고 그 외에 파키스탄, 인도, 이스라엘, 북한이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

 

<2020년 핵무기 보유현황, 그림 출처;연합뉴스> 

 

<2016년 핵무기 보유현황, 그림 출처;연합뉴스> 

 

<NPT 인정 핵보유국>
미국이 1945년 일본에 핵무기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러시아가 1949년 핵실험을 시작하였고 1952년에는 영국, 1960년에는 프랑스, 1964년에는 중국이 핵무기를 개발하여 핵무기 보유국 대열에 연이어 이름을 올렸다

◆ 미국
 1945년 처음으로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한 이래 대략 1만6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7만6천50개의 핵탄두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실제 운용하고 있는 핵탄두 가운데 1천600여개는 지상에서 발사되는 대륙간탄도 미사일(ICBM)인 미니트맨과 피스키퍼 미사일의 탄두이고 1천660개는 B-52 및 B-2 폭격기 탑재용 핵탄두이다. 또 2천880기는 오하이오급 잠수함에 탑재하게 되며 1천120기는 전술핵무기(TNW)용으로 분류되고 있다.
미국은 특히 해외 주둔지에 핵무기를 배치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이기도 하다.
◆ 러시아
 1949년 핵실험을 개시, 대략 7천여개의 전략 핵탄두를 배치하고 있으며 전술 및 비축용 탄두까지 포함하면 보유량은 2만여개로 크게 늘어난다.
◆ 프랑스
 60대의 미라지 2000N 폭격기 및 4대의 탄도미사일 탑재 핵잠수함(SSBN), 항공모함 탑재기에 사용 가능한 350개의 핵탄두를 갖고 있다.
◆ 영국
 1952년 핵실험을 개시한 후 뱅가드급 핵잠수함에 탑재할 수 있는 대략 200여개의 전략 및 "준전략"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중국
 400여개의 전략ㆍ전술 핵무기와 핵무기 제조가 가능한 핵물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은 핵보유국으로 지난 92년 NPT에 가입한 바 있다.

<NPT 미가입 핵보유국>
◆ 인도
 1974년 핵실험을 개시한 이후 핵보유국임을 공식 선언한 인도의 무기급 플루토늄 비축량은 240∼395㎏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핵탄두 설계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단순한 형태의 핵무기 40∼90개 정도를 제조할 수 있는 양으로 파악되고 있다.
◆ 파키스탄
 자신들이 보유 중인 `최소한의 핵 억지력'이 인도 내륙 깊숙이 타격을 가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분석가들은 파키스탄의 핵무기 보유량이 지난 1998년 5월 첫 핵실험 당시 10개 내외였으나 현재 최대 48개까지 늘어났을 것으로 보고 있다. NPT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비선언 핵보유국>
◆ 이스라엘
 핵보유국임을 밝히진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로 분류된다. 대략 100∼200개의 핵폭발 장치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공식적으로는 중동지역에서 핵무기를 들여오는 첫 국가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그러면서도 NPT에는 가입하지는 않았다.

<보유 주장했으나 미인정국>
◆ 이란= 핵무기 프로그램을 추적하는 군사 전문가들에 의해 핵보유국으로 의심을 받아왔으나 핵개발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진 않는다. 이란은 그간 핵무기 개발을 추진 중이라는 미국측 의혹 제기를 부인하면서 자신들의 핵 프로그램이 전력 수요에 맞추기 위한 평화 목적의 발전용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06년 4월 11일 이란이 자국을 핵 클럽 국가로 선언하였다. 
하지만 2015년 4월 2일, 스위스 로잔에서 이란과 P5+1(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 독일)은 이란 핵문제 해결을 위한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의 핵심 사안에 잠정 합의하고 2015년 6월 30일까지 세부 사항을 포함하는 최종 협상안을 도출하기로 하여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 폐기를 진행 중에 있다.
◆ 북한= 2005년 2월10일 핵무기 보유 선언에 이어 5월11에는 영변 5MW 원자로에서 폐연료봉 8천개 인출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2006년 10월 9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도 핵무기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발표하였지만 국제 사회는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군사 전문가들은 그동안 북한의 핵무기 보유 선언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반드시 전장에 배치할 수 있는 핵무기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2009년 초 미 국방부 산하 합동군 사령부(JFC)가 연례 보고서에서 북한을 핵무기보유국으로 명시한다. 북한의 핵무기 운용능력이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았다는 미국 과학자들의 지적이 있었지만 최근 북한은 이러한 지적을 무색케 하고 있다. 2017년 9월3일 6차 핵실험을 하여 위력이 약 150kt에 달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2017년에만 사거리가 수천 km에 이르는 탄도미사일 발사시험을 수차례 감행했다.

 

<핵보유 국가별 핵탄두 보유량>

 세계에서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핵탄두)는 몇개나 될까?.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서 발표한 2016년, 2015년에 각각 전 세계 핵보유국의 핵탄두 보유량이 담긴 연례군축보고서를 공개했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2016년 1월 기준 전체 핵 보유량은 전 세계적으로 최대 15,405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했다. 이중 러시아가 7,290개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미국이 7,000개로 두번째이다. 러시아와 미국이 가진 것이 전체의 93%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프랑스가 300개, 중국이 260개, 영국이 215개로서 UN상임이사국이 1~5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 순위는 파키스탄이 130개로 6위, 인도가 120개로 7위, 이스라엘이 80개로 8위를 차지하고 있고, 북한도 약 10개 정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2015년의 보유 현황은 전체가 약 15,853개로 더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미국과 러시아가 핵 감축프로그램에 따라 약 470개를 제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키스탄과 인도는 2015년에 비해 2016년에 각각 10개씩 추가 제조한 것으로 나타나 보유량을 늘였다. 그래도 전체 보유 순위는 같은 순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2014년과 비교해 보면 러시아, 미국, 영국의 보유량은 줄어들고 있으나 특이하게 중국은 약간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핵탄두는 줄어들고 있으나 중국, 파키스탄, 인도, 북한 등 아시아 지역에서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1. 러 시 아 : 2020년 6,375개 / 2016년 7,290개 / 2015년 7,500개 / 2014년 8,000개

  2. 미     국 : 2020년 5,800개 / 2016년 7,000개 / 2015년 7,260개 / 2014년 7,300개
  3. 프 랑 스 : 2020년   290개 / 2016년 300개 / 2015년 300개 / 2014년 300개
  4. 중     국 : 2020년   320개 / 2016년 260개 / 2015년 260개 / 2014년 250개
  5. 영     국 : 2020년   215개 / 2016년 215개 / 2016년 215개 / 2014년 225개
  6. 파키스탄 : 2020년   160개 / 2016년 110~130개 / 2015년 100~120개 / 2014년 100~120개
  7. 인      도 : 2020년   150개 / 2016년 100~120개 / 2015년 90~110개 / 2014년 90~110개
  8. 이스라엘 : 2020년     90개 / 2016년 80개 / 2015년 80개 / 2014년 80개

  9. 북      한 : 2020년 20~60개 / 2016년 ~10개 / 2015년 6~8개 / 2014년 6~8개

 

 

<2014, 2015년 핵무기 보유국별 핵무기 보유현황, 그림출처:연합뉴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