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4543만원, 평균 부채는 8256만원으로 집계됐다. 각각 지난해보다 3.1%, 4.4% 증가했다. 가구당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8.5%로 지난해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6.2%포인트 높아진 79.3%다.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악화했다는 얘기다.
 

<가구 자산과 부채, 통계청>

자산을 증가시킨 건 부동산이었다. 지난 3월 가구별 평균 자산 4억4543만원 가운데 금융자산은 전년 대비 0.6% 하락한 1억504만원(23.6%), 실물자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3억4039만원(76.4%)이었다. 실물자산이 증가한 것은 부동산 중 거주주택(5.6%↑) 가치가 증가한 영향이었다.
 
부채 역시 부동산가격을 따라 늘었다. 가구 부채는 금융부채(6050만원)와 임대보증금(2207만원)으로 구성되는데, 각각 지난해보다 5.1%, 2.4% 증가했다. 금융부채 중엔 담보대출(4743만원)과 신용대출(868만원)이 각각 3.5%, 10.5% 늘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 부동산 가격과 전월세 가격의 상승률로 인한 자산의 증가가 있었다"며 "이 자산 증가와 연계하여 담보대출 중심으로 부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30대의 부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지난 3월 30대의 부채액은 평균 1억82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915만원)보다 13.1%나 증가했다. 40대(6%)와 50대(6.4%)의 부채 증가율의 2배를 상회한다. 30대 부채 내역엔 '부동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의 흔적이 남았다. 이들의 부채 1억82만원은 담보대출 6422만원, 신용대출 1378만원으로 구성됐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30대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비중은 지난 1월 30.4%로 전 연령대 중 가장 컸고, 이는 지난 10월 38.5%로 더 커지는 추세다.

 

<가계금융복지조사 2020. 자료: 통계청>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5924만원으로 2018년(5828만원)에 비해 1.7% 증가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3791만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64%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감소했고, 사업소득(1151만원)의 비중도 19.4%로 0.8%포인트감소했다. 반면 기초연금·실업급여·아동수당·근로장려금 등 공적이전소득(457만원) 비중은 7.7%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저소득층에서 이런 현상은 더 두드러졌다. 최저소득층인 소득 1분위의 지난해 소득은 1155만원으로, 소득 증가율(4.6%)만 놓고 봤을 때 전체(1.7%) 가구의 약 2.7배에 달했다. 그러나 소득 구성비를 봤을 때 이들의 근로소득(286만원)은 지난해보다 5.2% 감소했고 사업소득(98만원)은 1.7% 감소했다. 대신 공적이전소득(494만원)이 13% 증가했다. 이들의 전체 소득에서 공적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42.8%에 달했다.
소득 2분위 역시 근로소득(1379만원)이 지난해보다 6.1% 감소하고 사업소득(496만원)이 3.2% 감소한 데 반해 공적이전소득(526만원)이 24.2% 증가했다. 저소득층이 시장에서 노동을 통해 스스로 벌어들이는 소득을 줄이는 대신 정부로부터 받는 소득을 늘리고 있단 얘기다. 
 

그 비용은 사회 전체가 부담했다. 지난해 가구 평균 비소비지출은 1106만원으로 1년 전보다 0.7% 증가했다. 세금은 354만원에서 357만원으로(0.7%↑), 공적연금·사회보험료는 338만원에서 353만원으로(4.3%↑) 증가했다. 임 과장은 "세금이나 공적 사회보험료가 역대 최대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반면 비소비지출 내 비영리단체이전지출(기부금 등)은 1년 전 62만원에서 올해 55만원으로 11%나 감소했다. 
 

<가계금융복지조사 2020. 자료: 통계청>

 

그 결과 빈부격차 정도는 개선됐다. 지난해 지니계수는 0.339로 전년 대비 0.006포인트 감소했다. 0~1 구간에 형성되는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소득 5분위 배율은 6.25배로 1년 전보다 0.29배 포인트 내려갔다. 소득 5분위 평균 소득을 하위 1분위 평균소득으로 나눈 이 값은 클수록 소득 분배가 불평등하다는 의미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