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자산관리의 기본 : 1 모으기, 2 아끼기, 3 투자하기 ㅇ 모으기 : 선저축 후소비 ㅇ 아끼기 : 불필요 지출 막기 * 쓸모없는 것을 절대 사지 않고, 쓸모 있는 것은 절대 버리지 않는다. ㅇ 투자하기 - 돈벌이 : 체력, 기술, 지식 → 돈, 지혜 - 투자원칙 : 자본 × 복리 × 시간 - 자산관리는 충동적으로 하면 절대 안된다. (투자과정은 정서관리 과정이다.) - 지출이 투자행위인가? 소비행위인가? ㅇ 4321 자산관리계획 : 40% 투자, 30% 지출, 20% 저축(긴급상황), 10% 보험 ㅇ 10가지 투자법칙 1. 목표가에 이르면 즉시 판다. (욕심으로 실패할 수 있다.) 2. 순가치를 계산하고, 단계적으로 매입하라 3. 오랫동안 관찰하고 저평가..
ㅇ 지은이의 말 : 경제에 대한 뷰는 정제된 지식에서 나온다. ㅇ 경제성장 (1장) GDP, 경제성장율, 잠재성장율 ㅇ 경기 흐름과 변동의 실체 (2장) 경기지수 : 선행, 동행, 후행 산업활동 동향 ㅇ 소비와 투자 (3장) ㅇ 국가재정 (4장) 세금, 예산 ㅇ 물가 (5장) ㅇ 유동성 (6장) ㅇ 금리와 경제와 부동산 (7장) ㅇ 환율 (8장) ㅇ 고용 (9장) 통계의 맹점 : 실업, 취업, 순취업자 갈수록 줄어드는 중간 일자리 ㅇ 대외교역 (10장) ㅇ 북한과 한국경제 (11장) 단기적 충격 → 장기적 회복 지연 경기침체기마다 북한도발 ㅇ 경제거품 (12장) ㅇ 위기 이후 (13장) 출구전략, 타이밍 설정 한국경제 앞으로의 위험요인은? : 가계대출, 부동산 시장 조정 ㅇ소감 - 경제의 제반요소간 상관..
ㅇ 빌라가 아파트보다 유리한 것 (p.129) 적은 투자비용 : 강남, 서초, 송파에서도 3~4천만으로 가능 우수한 주변환경 : 강남지역의 역세권, 학세권 (수요층이 두터움) 시세차익 기대 : 전세 1주기 도래시 투자금 회수 가능 ㅇ 빌라 제값에 파는 방법 화장하기 : 화장실 → 주방 소품 활용하기 : 포인트 벽지, 주방소품 브리핑 자료 만들어 공인중개사 제공 중개보수 : plus 경매 : 수요층 두터우면 감정가 100%, 수요층 작으면 60% 제값에 파는 방법은 유용한 것 같다. 그러나 투자 측면에서 아파트보다 유리하지는 않은 것 같다.
- Total
- Today
- Yesterday